본문 바로가기
비로소 문화 브랜드 리뷰/tv 방송 리뷰

또 오해영, 틀에 갇힌 남자와 틀을 깨는 여자

by feelosophy 2016. 6. 21.
반응형

또 오해영, 틀에 갇힌 남자와 틀을 깨는 여자

 

 30대 여성 취향의 로맨틱 코미디 장르라고 하더라도 이 드라마의 흡입력은 남다릅니다. 이미 여주인공 오해영으로 물망에 올랐던 김아중, 최강희보다 인지도 면에서 떨어졌던 서현진의 재발견이라고 불릴 정도로 tvN의 <또! 오해영>에서 오해영은 이제 서현진이 아니면 안되게 되었어요. 게다가 드라마만 찍으면 그 매력을 두 세배로 끌어올리는 에릭의 짠내 풍기는 연기만로 두 사람의 밀당을 계속해서 들여다 보도록 만듭니다. 물론 이 로맨스라는 것이 이 드라마의 매력의 시작에 불과합니다만.

 

 

 

  그렇다고 이 드라마가 젊은 남녀의 3-4각 관계의 그저 그런 로맨틱 드라마였다면 이렇게까지 호들갑스럽게 리뷰를 쓰고 앉았지 않았을겁니다. 스치듯 지나가는 이유들을 대보자면 주인공들 뿐만 아니라 매력적인 조연들의 캐릭터라든지, 두 주인공의 알싸한 연애의 시작을 만들었던 쪽문 열리는 그럴싸한 저택으로 향하는 구불구불한 골목길이나, 미래인지 환상인지 혹은 과거인지 모를 혼돈의 영상, 줄줄이 열맞춰 정신 빼고 걷는 남자 주인공과 직원들의 우스꽝스러운 모습이며 ... 스스로의 일상으로 대입시켜 보기 충분한 구석이 많은 드라마라는 것입니다.

 

 얼마전 콘텐츠의 창조력에 대한 모임에서 한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던 것 처럼, 드라마는(문화콘텐츠)는 '케미'와 '저격'의 조건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태양의 후예>를 썼던 작가가 했다는 말처럼 드라마가 작품이 아니라 사람들에게 소비될 수 있는 상품이 될 수 있도록 맞춤이어야 한다는 저격과 그것을 이루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협력해내야 한다는 말입니다. 

 

 <또 오해영>은 그런 점에서 또달리 우리들을 저격합니다. 그리고 드라마 속의 인물들의 외모와 연기는 남다른 캐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알 수 없는 미지의 나라에서의 재난 속 영웅담이 아니라도 우리 일상 속에서 쉽게 절망하고 죽음을 생각하는 개미들의 이야기도 '죽을 때, 너무 힘든 이 순간을 생각한다면 아무것도 아닐거야'라는 해탈의 순간을 까발리며 큰 위로를 만들어 줍니다.  

 

 영화의 음향을 입히는 남자 주인공의 직업과 외식 사업부에서 일하는 여자의 직업은 이러한 개미들의 속성을 잘 드러냅니다. 철저한 계산에 의해 만들어진 영상은 부드러운 조명과 세심한 음향으로 보는 이들의 청각을 곤두세우는 것은 기본으로 하면서 이들의 직업에서 오는 미묘한 긴장은 다른 감각들까지 깨워내는 역할을 하는 것 같습니다. 산들거리는 나비의 소리라든지, 이미 커버린 아이의 웃음과 노래소리라든지, 주절주절 떠들고 마는 소음같은 소리들이 고스란히 저장될 수 있다는 것과 슬플때나 기쁠때나 무엇인가를 꾸역꾸역 먹고 있는 모습에서 허기를 대신 채워나간다는 것이 '충족'이라는 이름으로 대체되는 것 같습니다.

 

 

 

 

 

 드라마에 종종 등장하는 영상은 틀에 갇힌 남자와 틀 밖의 여자를 대조적으로 나타내기를 좋아합니다. 격자의 창밖에서 창 속의 남자를 들여다보거나 전혀 다른 분위기의 두 방을 오가는 남녀가 문지방을 테두리로 대화를 잇는다거나 하는 장면이 자주 등장합니다. 주로 남자가 틀 속에 갇혀 있고 여자는 틀 밖에서 남자를 응시하는 구도입니다. 여자는 밝고 남자는 어둡습니다. 입고 있는 옷조차도 여자는 노랑 빨강 파랑 등의 밝은 계열이지만 남자는 검은 셔츠에 검은 바지, 하얀 운동화차림이 대부분입니다.

 

 누군가는 흙수저 오해영이 금수저 오해영에게 갖는 열등감을 남자 박도경으로 해소한다는 것으로 비판을 하였지만, 금해영과 박도경이 가지고 있지 못했던 소극적 인생의 자세를 적극적으로 바꿀 수 있는 삶을 살고 있다는 점에서 주인공이 되기 충분하다는 당위를 남은 드라마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드라마는 '나가려는 남자와 꺼내려는 여자'의 줄다리기이며 그 줄다리기는 촘촘하게 둘러쌓인 틀을 깨부수고 어차피 죽을 때 아무것도 아닌 지금의 거추장스러움쯤은 쿨하게 넘길 수 있는 용기를 만들도록 합니다.

 

누가 불쌍한 가의 문제가 아니라

신데렐라 이야기나 수동적인 남여의 문제가 아니라

사람과 사람의 운명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의 문제를 읽고 있는 것은 아닌가 이거죠.

 

옹졸하고 시야가 좁은 사람은 내 일이 가장 커보이고 그래서 항상 지치고 힘이 드는 것 같습니다. 또 많은 시기와 질투를 가지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오히려 주변의 그들을 인정하고 그들의 장점을 보도록 하며 그것을 배우려는 자세를 가지게 되면 마음이 한결 부드러워집니다. 그리고 행복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 드라마를 보면서 주인공 흙수저 오해영은 한국땅에 사는 젊은 처자들의 이야기뿐만 아니라 한 삶을 살아가는 하나의 사람으로 미운오리가 아닌 백조로서의 삶을 돌아보고 주변을 보듬을 수 있게 되는가 하는 이야기의 주인공을 만나게 합니다.

 

 

문화기획자 리타의 feelosophy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