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로소 문화 기획/비로소 책방

<여행의 기술> 여행이란 일상을 새롭게 보는 것

by feelosophy 2012. 5. 22.
반응형

알랭드 보통과 사랑에 빠진 독자들이 분명 많을테지만, 리타도 그 무리에 슬며시 동참해보고자 합니다. 처음 알랭드 보통과 만나게 되었던 <불안>, 봄병앓이에 흐느적거릴 때 링겔주사처럼 만난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에 이어 가을에는 터키쯤이 좋겠다고 생각하던 차에 <여행의 기술>을 만나고야 말았습니다.

 

그가 읽은 수 많은 책들과 딱 그만큼 많을 예술작품들에 대한 생각과 정리가 하나의 소설이나 에세이에 담겨져 슬쩍슬쩍 자랑하는 듯한 것도 얄밉지 않습니다. 그것은 아마도 그가 표현해내는 섬세한 감정의 묘사에 수긍했기 때문일 것이고, 누구나 꿈꾸고 희망하는 것들에 대한 고민을 충분히 해주어 대리충족을 주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여행의 기술>에서도 이전의 그의 책들에서처럼 조금은 얄망스럽고 까칠한 화자의 태도는 유지하면서도(여성에 대한 취향이나 습성들까지도 드러나기도 하죠.) 책을 구성하는 방식은 흥미롭습니다. 책에서 나온 말 처럼, 우리는 예술과 여행의 욕망 사이의 오래된 관계에 대해 모르지 않기에 유명한 화가나 탐험가들이 거쳤던 공간에 비록 다른 시대라지만 함께 머물러 보고자 하는 욕구는 벗어나기 힘들죠.

 

 

리타가 주문진항에 들렀다가 한 컷! 어떤 것이 느껴지시나요?

 

 

 

알랭드 보통은 여행했던 장소들을 그곳을 거쳐간 유명한 인물들의 작품이나 저작을 연결지으며 자신의 이야기를 이어 나갑니다. 도저히 어느하나 새롭게 바라보고 측정할 수 없을만큼 모든 것이 알려진 도시를 걸으면서, 두 시간에 한번 해수 온도를 측정하고 파리가 해발 몇 미터까지 살아갈 수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과 같은 호기심과 발견에 대한 목마름을 느낀다던가, 사이프러스나 올리브나무의 형태를 그림을 통해 기존에 전혀 다른 시선으로 새롭게 바라보게 되었다던가 하는 이런 경험들은 리타에게는 또하나의 여행이 되었습니다.

 

이 에세이는 결국에는 이렇게 마무리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늘 생경한 것을 찾아 어디론가 떠날 준비를 하게 되고, 그것을 얻고 나면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려는 욕구가 생기죠. 그 가운데 우리는 새로움에 대한 단순한 갈망으로 우리 주변의 작고 아름다운 것들을 그저 지나치기만 하는 것은 아닐까요. 따분할 것만 같은 한적한 시골마을은 대자연의 숭고함을 품고 있고, 내 방에서조차도 여행을 할 수 있다는 사람들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이죠.

 

 

한 때 그렇게 빛나던 광채가 지금 내 눈에서 영원히 사라진들 어떠랴

풀의 광희의 시간, 꽃의 영광의 시간을

다시 불러오지 못한들 어떠랴.

우리는 슬퍼하지 않고, 오히려

뒤에 남은 것에서 힘을 찾으리라

<영생 불멸의 노래 ode,infinations of immortality> p.18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