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세계경제는 유로존 재정위기 확산으로 뚜렷한 둔화추세를 보이고 있다. 향후 세계경제의 긍정적 측면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초래했던 구조적 문제점들이 부분적으로 해소되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의 주택가격이 상승세로 돌아서고 가계부채도 상당부분 조정되면서 가계 소비여력이 회복되고 있다. 중국도 주택경기가 반등하면서 긍정적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 정부의 재정건전화를 위한 적자축소는 2013년에도 지속되면서 세계경제의 본격적인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 선진국들은 2013년 세계GDP의 0.5% 규모의 재정적자를 줄여나갈 것으로 추정된다. 유로존의 불확실성도 여전히 남아 있을 것이다. 급박한 유동성 위기는 줄었지만 위기국의 경기침체가 지속되는 과정에서 재정건전화가 계획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에 따라 신뢰위기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다. 2013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3.4%로 2012년에 비해 다소 높아지겠지만 2000년대 중반의 고성장을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전반적으로 성장활력이 낮아지면서 국가간의 실력차도 뚜렷해질 것이다. 미국과 중국이 세계경제를 주도하는 경향이 강화되는 가운데 유럽과 일본의 부진이 장기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엔화와 유로화는 달러화에 대해 소폭 약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 브라질 등 기타 브릭스 국가도 과거에 비해 성장세가 한 단계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세계수요가 둔화되는 반면 공급은 늘어나면서 국제원자재 가격은 하향추세를 보일 전망이다. 성장활력을 높이기 위한 선진국과 개도국의 통화완화 정책으로 글로벌 유동성 확대추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2013년 해외 10大 트렌드의 키워드는 저성장, 갈등, 각자도생이다. 2013년은 세계경제의 성장활력이 부진한 가운데 선진국의 재정긴축 이행으로 저성장이 장기화되는 한 해가 될 전망인데, 저성장은 경제권, 국가, 계층 등에서 다발적인 갈등을 야기하는 요인이다. 한편, 각국의 상이한 경제상황으로 공조가 어려워 국가, 기업 등이 스스로 위기 극복을 도모하는 각자도생의 형국이 될 것이다
1. 성장을 억누르는 선진국의 재정긴축
2. 글로벌 환율갈등의 파장 확대
3. 新경영리스크로 대두하는 글로벌기업 규제
4. 아시아를 둘러싼 美中의 통상주도권 경쟁
5. 모바일산업의 주도권 쟁탈전 심화
6. 어려움이 지속되는 新재생에너지산업
7. 제조업 투자유치전 본격화
8. 동북아 외교갈등 완화 모색
9. 중동 정정불안 확대
10. 고통분담을 둘러싼 갈등 심화
'비로소 문화 브랜드 리뷰 > 브랜드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춘철학 7월 오프라인모임안내 (0) | 2013.07.17 |
---|---|
2월 서점 나들이, 김경주 성석제 유혜준 (0) | 2013.02.19 |
2013 국내 동향, 트렌드 (0) | 2013.01.31 |
'비로소 글을 쓰다' 강좌 안내 (2) | 2013.01.07 |
1월 책나눔모임, 주변을 둘러보는 따뜻한 시선 (0) | 2013.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