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적 상징을 연구하는 이론이나 분석틀을 활용하면 문화현상, 문화적 텍스트를 분석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 중에서 몇가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심볼리즘(Symbolism) : 문화적 상징의 의미와 역할을 중시하는 이론, 상징적인 언어와 문화적 관행을 해석하고 분석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해리포터의 이마 흉터, 까마귀의 신화적 상징, 마법사 가문이나 소속의 문양 등을 통해 기존 전설과 신화속 의미를 활용하여 캐릭터, 집단의 이미지를 만들었다.
현상학(Phenomenology): 문화적 상징을 다양한 관점에서 탐구하고 분석하는 이론으로, 인간의 경험과 인식이나 경험과 인식의 배경에서 상징이 발생하고 의미를 부여한다는 점에 관심을 가진다. 해리포터는 특히 세부적인 설정과 배경을 상세하게 묘사하여 독자들이 작품 속 배경과 인물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미지를 만들어 내어 실제 경험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스토리에서도 캐릭터 자체의 자기 개발과 성장담은 심리적 공감을 이끌어 낸다.
구조주의(Structuralism): 문화적 상징을 구조와 규칙에 따라 분석하는 이론인데 상징은 보다 큰 구조의 일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구조의 양식에 따라 의미가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해리포터의 이야기는 여러가지 이야기가 병행하여 전개가 되는데 가족의 서사, 해리와 친구들의 학교생활에서의 서사, 해리와 볼드모트와의 악연 서사 등이 중첩적으로 이어지다가 증폭하거나 서로의 서사의 개연성을 만들어 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면서 작품을 풍성하게 만들어 준다.
심리학적 상징 분석(Psycoalytic Symbol Analysis): 문화적 상징을 개인의 무의식과 관련지어 분석하는 이론이다. 문화의 상징이 개인적인 경험과 기억과 연관되어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강조한다. 해리포터에서도 다양한 욕망과 불안을 표현하고 있다. 볼드모트는 우리가 자신의 몸과 정신을 통제하지 못하게 된다면 처하게 될 문제에 대한 불안을 드러내는 것일 수 있으며 악령으로 허공을 떠도는 디멘터는 우울증이나 무력감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도비 캐릭터는 스스로의 능력 부족이나 한계에 다다른 처지에 대한 상징으로 읽힐수도 있다. 독자에 따라 공감을 느낄 수 있고 또 외부적 관점에서 자신과 닮은 캐릭터를 보게 되었을 때, 새로운 관점에서 개선하거나 해결방법을 찾으려는 시도를 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시각문화학(Visual Culture): 문화적 상징을 시각적 표현으로 보는 것으로 인식하는 방법과 사회적인 의미를 탐구하는 이론이다. 사진이나 영상처럼 실제 이미지가 아니더라도 텍스트에 반영된 시각적 효과까지도 고려해볼 수 있다. 감정이나 의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형용사가 많은 우리나라 말을 생각해보건데, 같은 물이라도 그것을 표현하는 방식이 쪽빛인지 검은색인지에 따라 화자의 의도와 심리적인 상황을 짐작할 수 있기 때문이며 그것을 통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리포터에서 볼 수 있는 시각문화학적 요소들은 각 기숙사의 상징에 따라 정해지는 색상이나 화면 구성에서 심리적 상황을 표현하는 기법 등을 꼽아 볼 수 있다.
비로소 소장 장효진
'비로소 문화 기획 > 문화기획과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를 구스타프 융 정신분석학과 문화콘텐츠 비평, 인셉션 속 정신적 여정 (0) | 2024.01.26 |
---|---|
영화 리뷰하는데 참고할만한 문화이론 다섯가지 <오징어게임>에 적용하면? (0) | 2024.01.21 |
[화성시평생학습관 강좌] 삶으로 빚은 영화, 영화로 짓는 인생 (0) | 2019.05.05 |
[코엑스 스토리 C 강연] 취향껏 살자, 비로소 소장 장효진 (1) | 2018.05.08 |
마늘샌드위치 같은 콘텐츠를 만들자 (0) | 2017.1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