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로소 문화 브랜드 리뷰/영화 리뷰

'늑대소년'='용의자 X'

by feelosophy 2012. 11. 9.
반응형

한 주에 두 편의 영화를 연달아 보는 것은 흔한 일은 아닙니다. 시간도 비용도 체력도 모두 아쉬운 까닭입니다.

그런데 두 편의 영화를 며칠 간격을 두고 보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런 지 두 영화를 더욱 생생하게 비교할 수 있었습니다. 두 편 모두 개인적으로 꽤 재미있게 보았고 또 나름의 감동을 얻기도 했어요. 그런데 또 이 전혀 다를 것 같았던 두 영화는 결국 하나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남자의 순정'이었습니다.

 

 

<스포일러가 다소 있을 수 있습니다.>

 

 

 

 

<용의자 X>는 일본의 <용의자X의 헌신>이라는 소설을 영화한 것이라고 합니다. '헌신'이라는 글자가 빠지자 영화 속의 반전이 더욱 실감이 나는 것 같아요. 보신 분들도 느끼셨겠지만, 영화에서 류승범의 연기는 어정쩡하고 불만족스러우면서 답답하기만 합니다. 그런데 이 연기는 영화의 두 번의 반전을 이끌어 나가는 역동적인 인물을 무덤덤하게 하기 위한 속임수라는 걸 뒤늦게 깨닳았어요. 과연 누구의 삶이 더 힘들고 고된 것인가를 생각해본다면 결코 염세적인 수학자의 손을 들어 줄 사람은 많지 않을 거에요. 그만큼 이요원이 연기한 화선의 인생은 비참할 만큼 힘겨운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서로 다른 인생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화선이 조카를 어엿하게 키워내기 위해 부지런하고 밝고 곱게 살아가는 것에 반해 석고는 스스로의 고민에 침잠해 스스로를 부정하려들었죠. 그런데 화선과 석고가 이웃으로 살게 되면서 석고의 일상 뒤바뀌었습니다. 어쩌면 작은 희망이나 행복을 지키려는 집착이 자라난 것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것은 결코 스토킹이거나 살인마의 악랄함, 혹은 뛰어난 두뇌를 시험하기 위한 사이코패스의 두뇌게임을 다루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저 들고 있던 물건이 바로 그것이었던 것 처럼 그는 자신의 논리와 행동력을 무기삼아 사랑하는 여인을 지킨 것 뿐이었습니다.

 

<늑대소년>은 다분히 동화같고 그래서 애니메이션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 듯합니다. 일본의 애니메이션에서 보았음직한 캐릭터와 이야기 구조(부재(아버지, 건강)의 부재를 겪는 여자 아이와 독특한 상황의 남자 아이가 만나 사랑에 서로 호감을 가지고 독특한 경험을 나누며 시간과 장소를 초월하며 아름다운 이야기로 마무리 되는.)를 가지고 있어서 그런가 봅니다. 사실 등장인물들은 산골자기에 사는 사람들이라고 해도 너무 해맑고 순수하기만 합니다. 어디서 온 아이인지도 모르는데도 자기 자식처럼 씻기고 입히고 먹이는 해맑은 어머니와 오랜 친척을 대하듯 친구였다가 어머니였다가 삼촌이기도 하는 이웃 주민들의 모습을 보면 예전 <웰컴투동막골>의 그 순수함이 절로 떠오릅니다. 오히려 현실적인 인물이라면 순이에 연정을 품은 지태일지도 모릅니다. 낯선 것에 의심을 품고 자기 잘못을 숨기는 모습이 평범한 우리의 모습과 다르지 않습니다. 어쨌든, 동물에 가까운 특이한 이성에게 점점 관심과 애정을 기울이며 교감을 만들어 나가는 두 아이의 모습은 사랑스럽습니다.

 

두 영화는 각각 너무나 현실적이면서 너무나 동화적이라는 상반성에도 불구하고 지고지순한 '남자의 순정'이라는 측면에서 똑같이 여성 관객들에게 판타지를 선사합니다. 물론 차이점이라면 두 영화가 모두 남자의 적극적인 순정을 가졌다는 점과 달리 한여자는 지극히 수동적이고 한 여자는 지극히 개방적이라는 것이었죠. 그래서 주눅들었던 두 남자의 인생에 여신으로 강림한 두 여인의 결말이 수동적인 여자는 어쩔줄 모르고 개방적인 여자는 누릴 것 다 누려서 또 다른 인생의 막을 열어두어 혼자 결정하도록 내버려 두는 모양새입니다.

 

<용의자 X>에서 갈등을 일으키는 인물이라면 화선을 못살게 군 전 남편이 아니라 석구의 친구이면서 사건의 전말을 캐는 형사입니다. 이 형사는 주인공의 완벽한 논리에 나타난 새로운 변수였지만 결과적으로는 여자에게 남자의 진심을 전하는 가장 큰 지원군임에 영화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이죠. <늑대소년>에서는 조금 과격하고 단순한 절대 악역이 등장합니다. 영화자체가 동화적이다보니 캐릭터들이 복잡한 심리표현을 하지는 않습니다. 과감한 2D죠. 그래서 이 악랄하기만하고 나쁘기만한 녀석은 늑대소년에게 가장 큰 위기의 순간을 만들고 또 여자아이에게 가장 큰 결심을 하게 만드는 촉매역할을 하고 숨을 거두죠. 중심이라기 보다는 영화의 절정으로 오르는 깔딱고개로 올리는 디딤돌 정도?

 

배경에 따라 심리적 깊이도 달라지고 인물의 현실적 갈등도 추가되며 대사와 식생활과 가치관까지도 달라지겠죠. 또 갈등을 일으키고 또 해소하는 과정도 그만큼의 복잡성에 준해서 만들어 질 겁니다.

 

그래서 두 영화가 장르, 배경, 캐릭터의 자세 등 다른 것들이 있지만 그래서 마치 거울을 보는 냥, 대칭적인 모습을 만들어 내는 건 아닌가 싶습니다.

 

2006년 한국영화 버블이 최고점을 치고 꺾이는 순간, 조폭영화 등의 기존의 소위 성공공식을 이은 영화들처럼 지금은 단지 여성관객들만을 의식한 영화들이 봇물처럼 나오고 있는 것 같아 조금은 씁쓸합니다. 물론 1년에 20편 이상의 영화를 극장에서 보는 주요 관객범위에 속한 사람으로서 그런 영화들에 대한 호감이 없다는 것은 아니지만, 두편의 영화가 마치 데칼코마니같은 하나의 영화로 보이는 것은 문제가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네요.

 

그냥 리타가 그렇게 생각한다는겁니다. ^^

둘 다 재미있게 봤고, 두 영화에서 모두 눈물깨나 흘렀더랬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