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로소 문화 브랜드 리뷰/공연 전시 강연

<소리로 푸는 하얀 동그라미>시공간없는 우리이야기

by feelosophy 2011. 9. 4.
반응형
한덕택선생님의 초대로 멋진 연극공연을 보러 갔습니다. 이 공연은 특이하게도 베르톨트 브레이트의 <코카서스의 하얀백묵원>이라는 작품을 소리로 풀어내었다고 하는군요. 베르톨트 브레이트는 독일의 유명 극작가겸 시인이라고 합니다. 그의 작품은 풍자와 해학으로 실제 현실을 드러내고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받았다고 하네요. 유명한 외국 작품을 소리로 어떻게 표현해 냈을까요? [관련글]

베르톨트 브레이트

독일 바이에른 주에서 아우크스부르크의 제지소장의 아들로 태어나 의학을 공부 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동안은 뮌헨에 있는 병원에서 잠시 일했다. 1928년 연극 《서푼짜리 오페라》로 유명한 작가가 되었는데, 무려 100회가 넘는 공연이 베를린에서 있었다. 초기에는 무정부주의자였으나, 나중에는 전쟁체험을 통해서 자기의 계급에 등을 돌려 차츰 혁명적인 방향으로 나아갔다. 마르크스주의를 받아들인 브레히트는 부르주아의 탐욕을 드러내는 극본과 사회주의 소설 《서푼짜리 소설》을 집필하는 좌파작가로 활동했다. 1933년 극우정당인 나치의 집권과 나치가 좌파탄압을 위해 날조한 사건인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으로 미국에 망명했다. 하지만, 미국에서도 1947년 12월 극단적인 반공주의를 뜻하는 매카시즘때문에 독일민주공화국(동독)으로 이주해야 했다. 당시 많은 동료 좌파작가들이 독일연방공화국(서독)을 택했지만, 그만은 동독을 택했다. 하지만 동독 공산당(SED) 간부들이 관료주의에 물들어 있던 동독도 그에게 만족을 주지는 못하여 풍자시를 쓰기도 했으며, 정부가 인민을 버렸다면서 1953년 동독 노동자 봉기 진압을 비판하기도 했다. 1956년 8월 지병인 심장병으로 숨을 거두었으며, 가족으로는 1929년 결혼한 아내 헬레네 바이겔과 두 자녀(슈테판, 바바라)가 있다.
[출처: 위키백과]



'하얀 백묵원'이라는 말은 하얀색 분필로 그린 원을 의미합니다. 이 극의 가장 크라이막스가 되는 판결에서 하얀색 백묵으로 그린 원에 아이를 두고 엄마라고 주장하는 두 여자가 양쪽으로 잡아당기도록 하는 것으로 진짜 엄마를 가려내게 되는 것이죠.

그런데 이 장면을 어디에선가 본 것 같기도 합니다. 그것은 아마도 그 유명한 솔로몬의 판결 때문일 것입니다. 한 아이의 어미라고 주장하는 두 엄마에게 솔로몬이 아이을 반으로 나누어 주라는 판결 말입니다. 이 말에 한 엄마가 제발 아이를 살려주고 다른 여자에게 아이를 주라고 하면서 친 엄마가 박혀지게 되지요. 또 우리에게 잘 알려진 송나라의 명판관인 포청천의 판결 중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다고 합니다. 정실부인과 첩이 한 아이를 서로 자신의 아이라고 우기는 공방에서 결국 백묵으로 원을 그리고 양쪽에서 아이를 잡아당기게 하여 진짜 엄마를 찾도록 한 것이죠.

앞의 두 이야기는 모두 생물학적 엄마가 자신의 아이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친권을 포기하게 됩니다. 그런데 브레이트는 이 이야기에 영감을 받아 극을 쓰면서도 오히려 이야기를 반대로 비틀어 버렸다고 하네요. 과연 '생물학적 엄마가 친 엄마라고 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을 가진 것이죠. 친 엄마라는 정의를 단지 '배아파 낳은'엄마가 아니라 '진심으로 안위와 행복을 주려고 하는'엄마라고 삼은 것입니다. 실제로 얼마 전에는 자기가 낳은 아기를 그것도 상습적으로 유기한 매정한 엄마가 뉴스에 오르는 것을 보면, 배아파 낳아준 엄마라 할지라도 자식의 절대적인 후원자라고 생각할 수 없는 듯 합니다.

<코카서스의 백묵원>은 국내에서 많은 극단에 의해서 무대에 올라왔더군요. 한 연극학과 지망생들의 카페에는 이 극의 내용을 올려두고,배우들의 이미지에 맞는 연예인을 이미지 캐스팅까지도 해 놓았습니다. [관련글] 또 어떤 극단에서는 이야기의 배경을 계곡의 소유분쟁을 담은 원작과 달리 통일 이후의 비무장 지대의 재산권 분쟁으로 바꾸어 놓기도 하였더군요.[관련글] 그리고 다른 극단에서는 이야기의 중심 축이 되는 두 이야기의 한 주인공인 그루세를 중심으로하여 이야기를 풀어내기도 했습니다.[관련글]  

모처럼 본 공연인<소리로 푸는 하얀 동그라미>는 원작의 이야기를 그대로 가져오되 배경은 우리나라의 오랜 옛날로 바꾸었습니다. 그리고 그루쉐는 꽃분이가 되고, 아쯔단은 김선달이 되었더군요.


소리는 민중의 이야기를 전달하는데 특히 효과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목이 쉰듯한 걸걸한 목소리와 고음을 낼 때 꺾여 올라가는 기교, 그 소리를 내기 위해 높고 먼 곳을 응시하며 일그러지는 표정은 우리가 느끼는 노여움이나 슬픔을 표현해 내기에 충분한 것 같습니다. 한 편으로는 북을 두드리는 구성진 박자에 맞춰 은유와 반어를 사용한 걸죽한 언어로 고통을 웃음으로 치환시켜내기도 합니다. 그런 점에서 풍자와 해학 그리고 비틀기의 브레히트의 작품을 표현하기에 소리극으로의 시도는 적절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소리로 푸는 하얀 동그라미>는 원작에서처럼 두 가지 이야기 줄기를 보여줍니다. 하녀라는 낮은 신분의 꽃분이가 영주의 아들을 자식으로 삼으며 인생굴곡을 겪는 것이 하나의 줄기이고 다른 하나는 왕을 도운 숯쟁이 김선달이 엉터리 판관이 되어 부자들에게는 뇌물을 거둬들이고 힘없는 자들을 돌보는 자못 통쾌한 판결을 하게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결국 두 줄기는 하나로 합쳐지게 되고 김선달은 운명의 장난에 걸린 꽃분이를 자유롭게 구해내며 이야기가 끝이 나게 되지요. 

연출자가 이야기한 것 처럼 '선(善)조차도 유혹'이라고 규정하는 대사가 많은 것을 이야기 하는 듯 합니다. 사지로 떠나는 남자와의 약혼, 자신과 주변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아이를 돌봄은 스스로 자신의 인생을 어려움으로 가득 메우게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고난을 스스로 택했다는 것을 통해 누군가가 자신의 인생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신념을 지켜내는 것이 결국에는 옳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이야기 합니다.

 


 공연 시작 전 무대, 무대 가운데에는 여덟 개의 상자가 세워져 있습니다. 곧 이어 여덟명의 배우가 등장하고 극이 시작되었습니다. 이 들은 영주의 하인이기도 했다가, 병사이거나 약혼자이거나 마을 사람이거나 시어머니나 괴팍한 남편 혹은 영주와 영주의 동생이 되어 작은 무대를 종횡무진합니다.
저 상자들은 무대 중앙에 쌓여서 집이 되었다가 판관의자가 되었다가 징검다리가 되거나 짐짝이 되기도 합니다. 모든 배우들이 어우러져 역동적인 춤사위를 벌일 때는 무대를 가득 채우는 부피감을 만들어 이리저리 배우들의 손에 들려 허공을 어지러이 맴돌기도 했습니다.

또 배우들이 입은 옷은 소리로 꾸민 공연을 더욱 빛나게 해주었습니다. 우리 전통의 하늘하늘한 옷감으로 만들어진 검은색 다양한 무대의상은 순간 순간 다른 캐릭터로 변신하는 (주인공조차도 번갈아가면서 맡는)배우들이 따로 또 같이 보이도록 하였고, 중간에 펼쳐지는 군무에서도 딱떨어지는 선으로 움직임을 아름답게 잡아주었습니다.

중간 쉬는 시간까지 더하여 두시간 사십분여를 공연하였는데, 배우들이 흘리는 땀이나 튀기는 침까지 볼 수 있었고, 중간 객석에 난입(?)하여 눈을 맞추며 대사를 펼칠 때의 그 호흡이 좋았습니다.(저 하고도 눈을 마주하며 큰 소리로 대사를 했었습니다. 장군이거나 풍만한 여인네이거나 변호인이었던 구경꾼1역을 맡았던 예쁜 배우였지요.) 그런데, 두 시간 이상 딱딱한 의자에 앉아있으려니 조금 힘이 들기는 했습니다. 후반부에 배우들의 목소리도 조금은 힘든 것 같았구요. 그도 그럴 것이 힘찬 무용에 연기에 생목으로 소리가락을 해야 하니 체력적으로 무척 힘들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같이 공연을 보았던 한덕택 선생님께서도 공연이 악극으로서 노래에 중심을 두고 임팩트있게 끌고 나갔다면 소극장공연으로 더 좋았을 것 같다고 하시더군요.


 


마지막 인사입니다. 판결의 동그라미 안에 들어갔던 독특한 모습의 아이 인형을 앉고 있는 꽃분이(꽃분이를 세 명이 돌아가면서 맡지요.) 그리고 약혼자인 섬돌씨입니다. 그리고 화면에는 없지만 김선달 역할을 했던 한명일씨의 연기도 아주 인상적이었습니다. 판관으로나서기 전에 극의 전반부에 그는 꽃분이의 못된 남편역을 했었는데 어찌나 미웠는지요.

브레이트는 몰라도 판관 포청천은 유난히 좋아했던 저에게는 이 새로운 시도의 공연이 재미있고 흥미있는 이야기로 다가왔습니다. 이 공연의 백미라고 할 수 있는 명쾌한 판결이 후반부에 있어 앞 부분의 이야기가 다소 길었다는 생각은 둘 째로 두고, 동양의 이야기가 서양의 극이 되었다가 다시 우리 마당극의을 빼닮은 공연이 되었다는 것이 재미있습니다. 여러분들도 중국 원나라 시대에서 19세기 독일로 그리고 백년쯤 흘러 한국으로 이야기가 이어지는 것이 재미있지 않으신가요?


[공연안내] 대학로 물빛극장 (9.1~10.22), 화~목: 8시, 금: 4,8시, 토: 3,7시, 일: 3시 공연

반응형

댓글